Design for better world

IFA 2024, 삼성과 LG전략 비교 본문

경제신문 분석

IFA 2024, 삼성과 LG전략 비교

곤약 2024. 9. 6. 10:06

https://www.etnews.com/20240905000290?mc=ns_002_00002

 

[IFA 2024]삼성전자 “AI는 삶의 질 높이는 '보이지 않는 손'”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사람을 돕는 ‘보이지 않는 손’으로 정의했다. 이와 함께 AI를 적극 활용하는 사람의 삶의 질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1.4배 높다는 연구결과도 공개했다. 삼성

www.etnews.com

 

Summary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사람을 돕는 '보이지 않는 손'으로 정의 

“개방형 스마트싱스 생태계와 삼성전자 AI 기술로 세계를 선도하고 AI가 서로 연결되도록 돕겠다”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스 제공하겠다 밝힘.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15%만이 AI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완전히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6%는 AI로 어떻게 더 많은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것으로 조사. 

'보다 쉬운 연결과 제어'가 AI 가전의 뉴노멀으로 자리매김하고, 궁극적으로 가전의 경쟁력을 판단하는 기준을 바꾸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분석

삼성전자는 자연어 기반으로 사용자 명령의 맥락을 이해하고 응답하는 업그레이드된 '빅스비'를 통해, LG전자는 생성형 AI가 대화의 맥락이나 주변 환경 등을 파악하는 'LG 씽큐 온'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대한다는 복안


research
- 온디바이스 ai 장점 : 클라우드기반으로하는 생성형 ai는 다량의 데이터/파라미터로 비용/시간 부담 多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것이 온디바이스 ai. 클라우드 안거쳐 속도 빠르고, 효율적이고 보안성도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음. 

- 제품에 ai적용이 늘어남에 따라서 sLLM, 소형Ai 모델 개발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됨

- 모바일, PC/노트북, 가전, 로보틱스, 모빌리티등 적용범위 확대 예측해볼 수 있음


opinion
- 현재 Ai는 효율성과 편의성 측면에서만 고려되는 양상이 있는데, 소비자의 감성을 건드려주는 Ai가 시장점유에 우세할 것으로 생각됨

- ai대두되면 앞으로 디지털 소외가 심화 예측됨. 현재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디지털 서비스 조차도 소외격차가 심해져 가는 추세 속에서 ai가 디지털 소외양상을 해소 해줄지, 심화시킬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과 디자이너 기획자들의 손에 달려 있을듯

- Ai가 주는 가치가 무엇이 될지 옥석을 가려내는일이 중요해짐. 얼마나 디지털에 무지한 사람도 유용하게 도울 수 있는지 그것이 관건이 될것. 기업 측면에서는 Ai를 통해 소비자에게 어떤 차별적 가치 선사할 것인지 치열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

-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ai가 에이전트 단계가 될때까지 기다리는게 아니라 어떤 간단한 장치만으로 사람들을 도울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 져야할것


https://www.mk.co.kr/news/business/11110872

 

삼성 "보이스 ID로 맞춤 솔루션" LG "씽큐온 대화통해 AI 홈 구현" - 매일경제

'100주년' 맞은 IFA 개막모두를 위한 혁신 주제로139개국 2200社 참여 열기

www.mk.co.kr

 

Summary

 

삼성전자는 글로벌 TV시장 1위, 생활가전 분야 세계1위. > LG전자가 생활가전 분야1위


- 삼성 

사용자의 목소리나 위치를 인식해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이번 IFA에서 최초 공개. '보이스 ID'가 대표적이다. 

보이스 ID는 목소리로 개별 사용자를 인식해 사생활 침해 우려를 줄이면서도 개인 일정, 관심사, 건강 상태 등을 반영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기능

- LG) 
LG전자의 올해 전시 주제는 '공감지능으로 새롭게 그려내는 AI 홈'

생성형 AI를 탑재한 AI 홈 허브와 AI 가전으로 고객과 공감하며 고객의 일상을 업그레이드하는 'LG AI 홈' 솔루션 선보임

'LG 씽큐 온'이 캘린더에 있는 일정을 음성으로 브리핑하고 택시 호출을 돕는 등 생활 전반을 세심히 관리하는 모습도 시연.

LG 씽큐 온은 가전업계 최초로 생성형 AI를 탑재한 AI 홈 허브다.(전제품, 사물인터넷(IoT) 기기들과 고객을 연결하는 핵심 기기)

 

 

Opinion
- LG는 홈디바이스들을 이어주는 씽큐온에 탑재된 생성형 ai 구글 클라우드 ai 인프라 적용했는데, 보안 문제에대해 지속적인 고민이 필요할것이라 예상